봄79.
수행3법과
(修行三法)
점검3법
(點檢三法)
수행이란
생각의
이원성
물성을
감각의
일원성
영성으로
바꾸는
과정입니다.
보는
자기와
보이는
자기
둘이
사라지고
텅비어지려면
둘의
차원에서의
수행인
돌아봄의
수행이
하나로
자리잡은
차원의
수행인
바라봄의
수행이
되고
늘
바라봄의
생활이
이루어지는
최종적인
늘봄의
차원이
있습니다.
수행이란
자기가
자기의
몸동작이나
말소리나
표정을
생각에
빠져
감각하지
못하다가
생각
돌아봄으로
생각을
비움으로써
감각이
생각을
몰아내고
들어섬으로써
그
모든
것을
즉시적으로
알아차리고
사는
깨어있음의
삶을
살기
위함입니다.
생각모드를
감각모드로
바꾸는
것입니다.
감각모드로
바뀌어지면
생각이
텅비고,
텅빈
자리가
화안하게
광명으로
충만하고,
고요하여
부동한
가운데
자기의
몸동작을
감각함에
대중이
잡히고
자기의
말소리를
들으면서
말할
수
있고
자기의
미세한
파장의
나타남인
얼굴표정에
대한
관리가
가능해집니다.
그렇게
변모하면
팔다리의
움직임
하나
하나에
깨어있고
자기의
말소리를
들으면서
말하게
되어
고저장단이
절도에
맞는
언행이
됩니다.
표정은
광명이
항시
빛나
어둡고
괴로운
표정을
찾아볼
수
없어
주변을
정화시키고
밝혀주고
힘을
실어줍니다.
똑똑하고
편한
사람이
됩니다.
여기까지가
생각돌아봄으로
생각이
텅빈
바라봄,
늘
텅빈
것을
바라보는
늘봄의
수행3법
입니다.
점검3법이란
수시로
점검하여
텅비어있는가?
화안한가?
고요한가?
자문자답해보면
금방
알
수
있고
아닌
것을
발견하는
즉시
즉각
복원됩니다.
필수사항으로서는
봄나라
책읽기를
30회독
이상
하여야
수행도
이루어지고
깨달음도
가능하고
점검도
가능합니다.
2010. 8. 23
문의 안내 : 02 - 765 - 2848
배송 안내 : 결제일로부터 2~5일이내. (CJ택배 이용)
교환 및 반품 안내 : 수령일로부터 7일 이내
오늘의 낭독 녹음 제출하고 후기 작성하는 법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에서 모두 녹음 가능합니다)
1. 나의 낭독 녹음하기 를 클릭합니다.
새로운 화면이 열립니다.
빨간 마이크 버튼을 누르세요.
2. 현재 화면에서 마이크의 권한을 허용하여 주십시오.
3. 녹음을 다 마친 후에 정지버튼을 누릅니다.
4. 녹음한 파일을 제출할 수 있도록 아래 버튼을 누릅니다.
5. 저장된 파일의 주소를 내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옮겨주어야합니다.
(녹음완료한 주소를
내가 쓸 낭독후기에 남겨놓아야
녹음파일의 행방을 알 수 있습니다.)
맨 오른쪽 작은 버튼을 누르면 주소가 나에게로 복사됩니다.
6. 원아선생님이 나의 녹음을 들을 수 있도록
낭독 후기를 작성할 때 주소를 남겨주셔야 합니다.
낭독후기를 작성한
제일 마지막 줄 빈 칸에서
빈 칸을 잠시동안 꾸욱 누르고 있으면
붙여넣기가 보입니다.
붙여넣어 주세요.
그 후에 스페이스바(띄어쓰기 버튼)를 한번 눌러 주세요.
주소 이후에 한 칸이 띄어지면
글자 색이 변하면서
링크가 저절로 걸립니다.
글쓰기 등록을 눌러 완료합니다.
봄79.
수행3법과
(修行三法)
점검3법
(點檢三法)
수행이란
생각의
이원성
물성을
감각의
일원성
영성으로
바꾸는
과정입니다.
보는
자기와
보이는
자기
둘이
사라지고
텅비어지려면
둘의
차원에서의
수행인
돌아봄의
수행이
하나로
자리잡은
차원의
수행인
바라봄의
수행이
되고
늘
바라봄의
생활이
이루어지는
최종적인
늘봄의
차원이
있습니다.
수행이란
자기가
자기의
몸동작이나
말소리나
표정을
생각에
빠져
감각하지
못하다가
생각
돌아봄으로
생각을
비움으로써
감각이
생각을
몰아내고
들어섬으로써
그
모든
것을
즉시적으로
알아차리고
사는
깨어있음의
삶을
살기
위함입니다.
생각모드를
감각모드로
바꾸는
것입니다.
감각모드로
바뀌어지면
생각이
텅비고,
텅빈
자리가
화안하게
광명으로
충만하고,
고요하여
부동한
가운데
자기의
몸동작을
감각함에
대중이
잡히고
자기의
말소리를
들으면서
말할
수
있고
자기의
미세한
파장의
나타남인
얼굴표정에
대한
관리가
가능해집니다.
그렇게
변모하면
팔다리의
움직임
하나
하나에
깨어있고
자기의
말소리를
들으면서
말하게
되어
고저장단이
절도에
맞는
언행이
됩니다.
표정은
광명이
항시
빛나
어둡고
괴로운
표정을
찾아볼
수
없어
주변을
정화시키고
밝혀주고
힘을
실어줍니다.
똑똑하고
편한
사람이
됩니다.
여기까지가
생각돌아봄으로
생각이
텅빈
바라봄,
늘
텅빈
것을
바라보는
늘봄의
수행3법
입니다.
점검3법이란
수시로
점검하여
텅비어있는가?
화안한가?
고요한가?
자문자답해보면
금방
알
수
있고
아닌
것을
발견하는
즉시
즉각
복원됩니다.
필수사항으로서는
봄나라
책읽기를
30회독
이상
하여야
수행도
이루어지고
깨달음도
가능하고
점검도
가능합니다.
2010. 8. 23
문의 안내 : 02 - 765 - 2848
배송 안내 : 결제일로부터 2~5일이내. (CJ택배 이용)
교환 및 반품 안내 : 수령일로부터 7일 이내
오늘의 낭독 녹음 제출하고 후기 작성하는 법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에서 모두 녹음 가능합니다)
1. 나의 낭독 녹음하기 를 클릭합니다.
새로운 화면이 열립니다.
빨간 마이크 버튼을 누르세요.
2. 현재 화면에서 마이크의 권한을 허용하여 주십시오.
3. 녹음을 다 마친 후에 정지버튼을 누릅니다.
4. 녹음한 파일을 제출할 수 있도록 아래 버튼을 누릅니다.
5. 저장된 파일의 주소를 내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옮겨주어야합니다.
(녹음완료한 주소를
내가 쓸 낭독후기에 남겨놓아야
녹음파일의 행방을 알 수 있습니다.)
맨 오른쪽 작은 버튼을 누르면 주소가 나에게로 복사됩니다.
6. 원아선생님이 나의 녹음을 들을 수 있도록
낭독 후기를 작성할 때 주소를 남겨주셔야 합니다.
낭독후기를 작성한
제일 마지막 줄 빈 칸에서
빈 칸을 잠시동안 꾸욱 누르고 있으면
붙여넣기가 보입니다.
붙여넣어 주세요.
그 후에 스페이스바(띄어쓰기 버튼)를 한번 눌러 주세요.
주소 이후에 한 칸이 띄어지면
글자 색이 변하면서
링크가 저절로 걸립니다.
글쓰기 등록을 눌러 완료합니다.
오늘의 낭독 트레킹 진도
봄나라에서 발행된 종이책
원아 유종열님의 35성상 수행의 결정체
돌아 봄으로 생활하고
낭독 트레킹으로 수행하는
봄나라 형이상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