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87.
간화선과
(看話禪)
본격돌아봄
간화선은
이뭣고?
라고
하는
언구(言句)를
참구(參究)하여
감각이
생각을
이기고
타파하여
아무것도
아닌
텅비고
고요하고
화안한
불성(감성)을
깨닫는
수행법입니다.
불교가
동토에
와서
발전시키고
이룩한
획기적인
깨달음의
법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의
의식수준은
좌뇌본위
생각위주인
상태로서
생각이
정권을
잡아
감각을
억누르고
있는
상태이므로
이뭣고?
라는
생각을
감각할
힘이
없어
화두가
걸리지
않는
상태입니다.
그래서
극히
수승한
근기에
있는
소수자들이나
성공할
뿐
대부분의
구도자들은
일생을
참구하여도
몸에
병만
생기고
허송세월만
합니다.
생각의
모드가
감각의
모드로
바뀌려면
생각이
끝까지
나아가
사유와
사색의
차원이
되어야
감각의
모드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생각도
여물지
않은
사람에게
무조건
참구하라고
감각을
발동시키라고
화두(話頭)를
주는
것이
순서상
무리가
있습니다.
그래서
봄나라에서는
아홉권의
책을
통하여
좌뇌와
생각을
더욱
발전시키도록
하는
한편
자기의
행동을
감각하고,
자기의
말소리를
감각하고,
자기의
표정을
감각하도록
하는
몸
돌아봄을
거쳐
자기의
생각
느낌
감정을
감각하는
마음
돌아봄을
거쳐
감각을
일깨우고
살린
다음
본격돌아봄으로
생각의
이원성
보는
자기와
(현재심)
보이는
자기로
(과거심과 미래심)
분열된
것을
치유하기
위하여
밖의
자기가
(보는 자기)
안의
자기를
(보이는 자기)
향해
감각이
생각을
와해시키기
위하여
끊임없이
뚫고
들어가는
봄(감각)의
힘으로
시간적
공간적으로
합일을
이루어
아무것도
아닌
텅비고
고요하고
화안한
본성(本性),
영성(靈性),
감성(感性)을
회복하도록
합니다.
간화선을
통하여
화두가
걸리지
않는
사람들은
좌뇌와
생각을
더욱
발전시키는
봄나라
책을
반복해서
읽은
다음
몸
돌아봄
마음
돌아봄으로
감각을
살려낸
다음
최종적으로
본격돌아봄을
통하여
감각이
생각을
이기도록
하여
생각의
모드를
감각의
모드로
바꾸는
공부를
하여야
합니다.
이
방법이
누구나
할
수
있는
보편적인
방법입니다.
2010. 8. 27
문의 안내 : 02 - 765 - 2848
배송 안내 : 결제일로부터 2~5일이내. (CJ택배 이용)
교환 및 반품 안내 : 수령일로부터 7일 이내
오늘의 낭독 녹음 제출하고 후기 작성하는 법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에서 모두 녹음 가능합니다)
1. 나의 낭독 녹음하기 를 클릭합니다.
새로운 화면이 열립니다.
빨간 마이크 버튼을 누르세요.
2. 현재 화면에서 마이크의 권한을 허용하여 주십시오.
3. 녹음을 다 마친 후에 정지버튼을 누릅니다.
4. 녹음한 파일을 제출할 수 있도록 아래 버튼을 누릅니다.
5. 저장된 파일의 주소를 내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옮겨주어야합니다.
(녹음완료한 주소를
내가 쓸 낭독후기에 남겨놓아야
녹음파일의 행방을 알 수 있습니다.)
맨 오른쪽 작은 버튼을 누르면 주소가 나에게로 복사됩니다.
6. 원아선생님이 나의 녹음을 들을 수 있도록
낭독 후기를 작성할 때 주소를 남겨주셔야 합니다.
낭독후기를 작성한
제일 마지막 줄 빈 칸에서
빈 칸을 잠시동안 꾸욱 누르고 있으면
붙여넣기가 보입니다.
붙여넣어 주세요.
그 후에 스페이스바(띄어쓰기 버튼)를 한번 눌러 주세요.
주소 이후에 한 칸이 띄어지면
글자 색이 변하면서
링크가 저절로 걸립니다.
글쓰기 등록을 눌러 완료합니다.
봄87.
간화선과
(看話禪)
본격돌아봄
간화선은
이뭣고?
라고
하는
언구(言句)를
참구(參究)하여
감각이
생각을
이기고
타파하여
아무것도
아닌
텅비고
고요하고
화안한
불성(감성)을
깨닫는
수행법입니다.
불교가
동토에
와서
발전시키고
이룩한
획기적인
깨달음의
법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의
의식수준은
좌뇌본위
생각위주인
상태로서
생각이
정권을
잡아
감각을
억누르고
있는
상태이므로
이뭣고?
라는
생각을
감각할
힘이
없어
화두가
걸리지
않는
상태입니다.
그래서
극히
수승한
근기에
있는
소수자들이나
성공할
뿐
대부분의
구도자들은
일생을
참구하여도
몸에
병만
생기고
허송세월만
합니다.
생각의
모드가
감각의
모드로
바뀌려면
생각이
끝까지
나아가
사유와
사색의
차원이
되어야
감각의
모드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생각도
여물지
않은
사람에게
무조건
참구하라고
감각을
발동시키라고
화두(話頭)를
주는
것이
순서상
무리가
있습니다.
그래서
봄나라에서는
아홉권의
책을
통하여
좌뇌와
생각을
더욱
발전시키도록
하는
한편
자기의
행동을
감각하고,
자기의
말소리를
감각하고,
자기의
표정을
감각하도록
하는
몸
돌아봄을
거쳐
자기의
생각
느낌
감정을
감각하는
마음
돌아봄을
거쳐
감각을
일깨우고
살린
다음
본격돌아봄으로
생각의
이원성
보는
자기와
(현재심)
보이는
자기로
(과거심과 미래심)
분열된
것을
치유하기
위하여
밖의
자기가
(보는 자기)
안의
자기를
(보이는 자기)
향해
감각이
생각을
와해시키기
위하여
끊임없이
뚫고
들어가는
봄(감각)의
힘으로
시간적
공간적으로
합일을
이루어
아무것도
아닌
텅비고
고요하고
화안한
본성(本性),
영성(靈性),
감성(感性)을
회복하도록
합니다.
간화선을
통하여
화두가
걸리지
않는
사람들은
좌뇌와
생각을
더욱
발전시키는
봄나라
책을
반복해서
읽은
다음
몸
돌아봄
마음
돌아봄으로
감각을
살려낸
다음
최종적으로
본격돌아봄을
통하여
감각이
생각을
이기도록
하여
생각의
모드를
감각의
모드로
바꾸는
공부를
하여야
합니다.
이
방법이
누구나
할
수
있는
보편적인
방법입니다.
2010. 8. 27
문의 안내 : 02 - 765 - 2848
배송 안내 : 결제일로부터 2~5일이내. (CJ택배 이용)
교환 및 반품 안내 : 수령일로부터 7일 이내
오늘의 낭독 녹음 제출하고 후기 작성하는 법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에서 모두 녹음 가능합니다)
1. 나의 낭독 녹음하기 를 클릭합니다.
새로운 화면이 열립니다.
빨간 마이크 버튼을 누르세요.
2. 현재 화면에서 마이크의 권한을 허용하여 주십시오.
3. 녹음을 다 마친 후에 정지버튼을 누릅니다.
4. 녹음한 파일을 제출할 수 있도록 아래 버튼을 누릅니다.
5. 저장된 파일의 주소를 내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옮겨주어야합니다.
(녹음완료한 주소를
내가 쓸 낭독후기에 남겨놓아야
녹음파일의 행방을 알 수 있습니다.)
맨 오른쪽 작은 버튼을 누르면 주소가 나에게로 복사됩니다.
6. 원아선생님이 나의 녹음을 들을 수 있도록
낭독 후기를 작성할 때 주소를 남겨주셔야 합니다.
낭독후기를 작성한
제일 마지막 줄 빈 칸에서
빈 칸을 잠시동안 꾸욱 누르고 있으면
붙여넣기가 보입니다.
붙여넣어 주세요.
그 후에 스페이스바(띄어쓰기 버튼)를 한번 눌러 주세요.
주소 이후에 한 칸이 띄어지면
글자 색이 변하면서
링크가 저절로 걸립니다.
글쓰기 등록을 눌러 완료합니다.
오늘의 낭독 트레킹 진도
봄나라에서 발행된 종이책
원아 유종열님의 35성상 수행의 결정체
돌아 봄으로 생활하고
낭독 트레킹으로 수행하는
봄나라 형이상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