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47.
잠에
대한
새로운
인식
생각으로
보면
일과
휴식이
다릅니다.
그것은
겉으로
봄이고
속을
들여다
보면,
감각으로
보면,
일과
휴식은
둘이
아닙니다.
진리적으로
보면
일
가운데
휴식이
있고
휴식
가운데
일이
있습니다.
깨어있음과
잠도
마찬가지입니다.
깨어있는
가운데
잠도
있고
잠
가운데도
깨어있음이
존재의
진실입니다.
잠은
휴식으로만
생각합니다.
잠
가운데
꿈을
꾸는
일은
과거에
불완전
연소로
남아있는
갈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두뇌의
작동이요
일입니다.
갈등의
문제가
남아있지
않아
꿈을
꾸지
않는
단계가
되면
잠
속에서
막히고
풀지
못한
문제를
풀기
위한
창조적
작업이
잠
속에서
이루어집니다.
내적
창조작업이
이루어질
최적의
조건이
몸이
쉬고
있는
잠
속
입니다.
잠은
휴식이면서
일입니다.
잠
속에서
창조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면
갈등이
남아있지
않은
깨끗한
두뇌에
풀지
못한
문제가
선명(鮮明)하여야
합니다.
잠은
단순한
휴식이
아니라
잠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시간이기도
합니다.
창조적
영감이라는
것도
알고보면
잠
속에서
두뇌가
발견한
결과를
문득
깨달음입니다.
죽은
잠이
아니라
살아있는
잠을
자서
무한한
창조력을
발현합시다.
2010. 11. 11
문의 안내 : 02 - 765 - 2848
배송 안내 : 결제일로부터 2~5일이내. (CJ택배 이용)
교환 및 반품 안내 : 수령일로부터 7일 이내
오늘의 낭독 녹음 제출하고 후기 작성하는 법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에서 모두 녹음 가능합니다)
1. 나의 낭독 녹음하기 를 클릭합니다.
새로운 화면이 열립니다.
빨간 마이크 버튼을 누르세요.
2. 현재 화면에서 마이크의 권한을 허용하여 주십시오.
3. 녹음을 다 마친 후에 정지버튼을 누릅니다.
4. 녹음한 파일을 제출할 수 있도록 아래 버튼을 누릅니다.
5. 저장된 파일의 주소를 내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옮겨주어야합니다.
(녹음완료한 주소를
내가 쓸 낭독후기에 남겨놓아야
녹음파일의 행방을 알 수 있습니다.)
맨 오른쪽 작은 버튼을 누르면 주소가 나에게로 복사됩니다.
6. 원아선생님이 나의 녹음을 들을 수 있도록
낭독 후기를 작성할 때 주소를 남겨주셔야 합니다.
낭독후기를 작성한
제일 마지막 줄 빈 칸에서
빈 칸을 잠시동안 꾸욱 누르고 있으면
붙여넣기가 보입니다.
붙여넣어 주세요.
그 후에 스페이스바(띄어쓰기 버튼)를 한번 눌러 주세요.
주소 이후에 한 칸이 띄어지면
글자 색이 변하면서
링크가 저절로 걸립니다.
글쓰기 등록을 눌러 완료합니다.
봄47.
잠에
대한
새로운
인식
생각으로
보면
일과
휴식이
다릅니다.
그것은
겉으로
봄이고
속을
들여다
보면,
감각으로
보면,
일과
휴식은
둘이
아닙니다.
진리적으로
보면
일
가운데
휴식이
있고
휴식
가운데
일이
있습니다.
깨어있음과
잠도
마찬가지입니다.
깨어있는
가운데
잠도
있고
잠
가운데도
깨어있음이
존재의
진실입니다.
잠은
휴식으로만
생각합니다.
잠
가운데
꿈을
꾸는
일은
과거에
불완전
연소로
남아있는
갈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두뇌의
작동이요
일입니다.
갈등의
문제가
남아있지
않아
꿈을
꾸지
않는
단계가
되면
잠
속에서
막히고
풀지
못한
문제를
풀기
위한
창조적
작업이
잠
속에서
이루어집니다.
내적
창조작업이
이루어질
최적의
조건이
몸이
쉬고
있는
잠
속
입니다.
잠은
휴식이면서
일입니다.
잠
속에서
창조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려면
갈등이
남아있지
않은
깨끗한
두뇌에
풀지
못한
문제가
선명(鮮明)하여야
합니다.
잠은
단순한
휴식이
아니라
잠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시간이기도
합니다.
창조적
영감이라는
것도
알고보면
잠
속에서
두뇌가
발견한
결과를
문득
깨달음입니다.
죽은
잠이
아니라
살아있는
잠을
자서
무한한
창조력을
발현합시다.
2010. 11. 11
문의 안내 : 02 - 765 - 2848
배송 안내 : 결제일로부터 2~5일이내. (CJ택배 이용)
교환 및 반품 안내 : 수령일로부터 7일 이내
오늘의 낭독 녹음 제출하고 후기 작성하는 법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에서 모두 녹음 가능합니다)
1. 나의 낭독 녹음하기 를 클릭합니다.
새로운 화면이 열립니다.
빨간 마이크 버튼을 누르세요.
2. 현재 화면에서 마이크의 권한을 허용하여 주십시오.
3. 녹음을 다 마친 후에 정지버튼을 누릅니다.
4. 녹음한 파일을 제출할 수 있도록 아래 버튼을 누릅니다.
5. 저장된 파일의 주소를 내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옮겨주어야합니다.
(녹음완료한 주소를
내가 쓸 낭독후기에 남겨놓아야
녹음파일의 행방을 알 수 있습니다.)
맨 오른쪽 작은 버튼을 누르면 주소가 나에게로 복사됩니다.
6. 원아선생님이 나의 녹음을 들을 수 있도록
낭독 후기를 작성할 때 주소를 남겨주셔야 합니다.
낭독후기를 작성한
제일 마지막 줄 빈 칸에서
빈 칸을 잠시동안 꾸욱 누르고 있으면
붙여넣기가 보입니다.
붙여넣어 주세요.
그 후에 스페이스바(띄어쓰기 버튼)를 한번 눌러 주세요.
주소 이후에 한 칸이 띄어지면
글자 색이 변하면서
링크가 저절로 걸립니다.
글쓰기 등록을 눌러 완료합니다.
오늘의 낭독 트레킹 진도
봄나라에서 발행된 종이책

원아 유종열님의 35성상 수행의 결정체
돌아 봄으로 생활하고
낭독 트레킹으로 수행하는
봄나라 형이상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