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16.
이치로
본
거슬러
오름과
내려옴
도란
이치적으로
근본으로
거슬러
올라
근본에서
점을
찍은
다음
순차적으로
내려오면서
부리고
쓰는
과정입니다.
좌뇌
생각을
탐구한
다음
우뇌인
감각을
탐구하여
가슴에까지
내려가
신비감
아름다움
기쁨의
파장을
일으켜
사랑과
행복감을
느끼고
행복감을
느낄
수
있는
에너지의
원천인
하단전에
점을
찍습니다.
근본인
하단전에서
출발하여
중단전인
심장을
박동시켜
상단전인
두뇌를
작동시키고
온몸으로
에너지를
전달하여
오감과
내장과
신경계통과
목과
팔다리를
움직입니다.
거슬러
오르는
길은
상단전에서
중단전을
거쳐
하단전에
이르는
과정이
근본에
이르는
구도의
과정이고
내려오는
쓰는
과정은
하단전에서
중단전으로
상단전으로
순차적으로
운행합니다.
현상적으로
보면
거슬러
오름이
내려옴이고
내려옴이
올라감입니다.
좌뇌→
우뇌→
가슴→
하단전으로
내려옴이
이치적으로
보면
거슬러
올라감이고
하단전→
가슴→
우뇌→
좌뇌로
올라감이
이치적으로
보면
내려옴
입니다.
하단전(배)에서
소화작용을
통하여
영양가를
흡수하고
하단전에서
폐의
호흡작용을
통하여
산소를
흡수하므로
에너지를
만들므로
중단전(가슴)에서
심장이
박동하여
온몸으로
에너지를
전달하여
상단전(두뇌)과
목과
팔다리를
움직입니다.
천지(가슴과 배)가
있고
난
연후에
사람(두뇌)이
존재하는
이치대로
몸이
만들어진
것입니다.
지말(枝末)에서
근본으로
거슬러
올라가고
근본에서
순차적으로
내려옴인
것입니다.
현상적으로
보면
지말에서
근본으로
내려오고
근본에서
지말로
올라감입니다.
2010. 10. 18
문의 안내 : 02 - 765 - 2848
배송 안내 : 결제일로부터 2~5일이내. (CJ택배 이용)
교환 및 반품 안내 : 수령일로부터 7일 이내
오늘의 낭독 녹음 제출하고 후기 작성하는 법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에서 모두 녹음 가능합니다)
1. 나의 낭독 녹음하기 를 클릭합니다.
새로운 화면이 열립니다.
빨간 마이크 버튼을 누르세요.
2. 현재 화면에서 마이크의 권한을 허용하여 주십시오.
3. 녹음을 다 마친 후에 정지버튼을 누릅니다.
4. 녹음한 파일을 제출할 수 있도록 아래 버튼을 누릅니다.
5. 저장된 파일의 주소를 내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옮겨주어야합니다.
(녹음완료한 주소를
내가 쓸 낭독후기에 남겨놓아야
녹음파일의 행방을 알 수 있습니다.)
맨 오른쪽 작은 버튼을 누르면 주소가 나에게로 복사됩니다.
6. 원아선생님이 나의 녹음을 들을 수 있도록
낭독 후기를 작성할 때 주소를 남겨주셔야 합니다.
낭독후기를 작성한
제일 마지막 줄 빈 칸에서
빈 칸을 잠시동안 꾸욱 누르고 있으면
붙여넣기가 보입니다.
붙여넣어 주세요.
그 후에 스페이스바(띄어쓰기 버튼)를 한번 눌러 주세요.
주소 이후에 한 칸이 띄어지면
글자 색이 변하면서
링크가 저절로 걸립니다.
글쓰기 등록을 눌러 완료합니다.
봄16.
이치로
본
거슬러
오름과
내려옴
도란
이치적으로
근본으로
거슬러
올라
근본에서
점을
찍은
다음
순차적으로
내려오면서
부리고
쓰는
과정입니다.
좌뇌
생각을
탐구한
다음
우뇌인
감각을
탐구하여
가슴에까지
내려가
신비감
아름다움
기쁨의
파장을
일으켜
사랑과
행복감을
느끼고
행복감을
느낄
수
있는
에너지의
원천인
하단전에
점을
찍습니다.
근본인
하단전에서
출발하여
중단전인
심장을
박동시켜
상단전인
두뇌를
작동시키고
온몸으로
에너지를
전달하여
오감과
내장과
신경계통과
목과
팔다리를
움직입니다.
거슬러
오르는
길은
상단전에서
중단전을
거쳐
하단전에
이르는
과정이
근본에
이르는
구도의
과정이고
내려오는
쓰는
과정은
하단전에서
중단전으로
상단전으로
순차적으로
운행합니다.
현상적으로
보면
거슬러
오름이
내려옴이고
내려옴이
올라감입니다.
좌뇌→
우뇌→
가슴→
하단전으로
내려옴이
이치적으로
보면
거슬러
올라감이고
하단전→
가슴→
우뇌→
좌뇌로
올라감이
이치적으로
보면
내려옴
입니다.
하단전(배)에서
소화작용을
통하여
영양가를
흡수하고
하단전에서
폐의
호흡작용을
통하여
산소를
흡수하므로
에너지를
만들므로
중단전(가슴)에서
심장이
박동하여
온몸으로
에너지를
전달하여
상단전(두뇌)과
목과
팔다리를
움직입니다.
천지(가슴과 배)가
있고
난
연후에
사람(두뇌)이
존재하는
이치대로
몸이
만들어진
것입니다.
지말(枝末)에서
근본으로
거슬러
올라가고
근본에서
순차적으로
내려옴인
것입니다.
현상적으로
보면
지말에서
근본으로
내려오고
근본에서
지말로
올라감입니다.
2010. 10. 18
문의 안내 : 02 - 765 - 2848
배송 안내 : 결제일로부터 2~5일이내. (CJ택배 이용)
교환 및 반품 안내 : 수령일로부터 7일 이내
오늘의 낭독 녹음 제출하고 후기 작성하는 법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에서 모두 녹음 가능합니다)
1. 나의 낭독 녹음하기 를 클릭합니다.
새로운 화면이 열립니다.
빨간 마이크 버튼을 누르세요.
2. 현재 화면에서 마이크의 권한을 허용하여 주십시오.
3. 녹음을 다 마친 후에 정지버튼을 누릅니다.
4. 녹음한 파일을 제출할 수 있도록 아래 버튼을 누릅니다.
5. 저장된 파일의 주소를 내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옮겨주어야합니다.
(녹음완료한 주소를
내가 쓸 낭독후기에 남겨놓아야
녹음파일의 행방을 알 수 있습니다.)
맨 오른쪽 작은 버튼을 누르면 주소가 나에게로 복사됩니다.
6. 원아선생님이 나의 녹음을 들을 수 있도록
낭독 후기를 작성할 때 주소를 남겨주셔야 합니다.
낭독후기를 작성한
제일 마지막 줄 빈 칸에서
빈 칸을 잠시동안 꾸욱 누르고 있으면
붙여넣기가 보입니다.
붙여넣어 주세요.
그 후에 스페이스바(띄어쓰기 버튼)를 한번 눌러 주세요.
주소 이후에 한 칸이 띄어지면
글자 색이 변하면서
링크가 저절로 걸립니다.
글쓰기 등록을 눌러 완료합니다.
오늘의 낭독 트레킹 진도
봄나라에서 발행된 종이책

원아 유종열님의 35성상 수행의 결정체
돌아 봄으로 생활하고
낭독 트레킹으로 수행하는
봄나라 형이상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