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11.
대무심의
경지
무심의
경지란
마음(생각)이
없는
경지입니다.
생각이
없다는
것은
감각이
활짝
열려있기
때문입니다.
감각은
일원성이자
텅비어있음
입니다.
텅비어있다는
것은
이고(ego)가
없다는
것입니다.
이고(ego)가
없으므로
재잘거리는
소리가
없어
항시
고요합니다.
생각의
먹구름이
덮이지
않고
막히지
않아
항시
화안합니다.
여울물이
아무리
흔들거리며
흘러가도
달빛이
비치고
있으면
그
달빛은
조금도
흔들거리지
않고
흘러가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희로애락은
없지
않지만
맑은
거울에
비친
그림자인지라
거울은
조금도
물들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대무심의
경지,
이것이
우리의
본래모습입니다.
이것이
본연의
자기입니다.
이것이
대무심의
경지입니다.
이것보다
큰
복은
없습니다.
이것보다
큰
지혜는
없습니다.
이것보다
큰
행복은
없습니다.
이것보다
큰
사랑은
없습니다.
이것이
사람다운
사람의
징표입니다.
이것이
사람을
완성한
징표입니다.
이것이
성공한
사람의
징표입니다.
이것이
자유
평화
행복의
징표입니다.
감각을
발동시켜
생각을
이기고
감각이
활짝
열려
정신이
들어야
생각이나
감정에
놀아나지
않는
대무심의
경지가
됩니다.
2010. 10. 13
문의 안내 : 02 - 765 - 2848
배송 안내 : 결제일로부터 2~5일이내. (CJ택배 이용)
교환 및 반품 안내 : 수령일로부터 7일 이내
오늘의 낭독 녹음 제출하고 후기 작성하는 법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에서 모두 녹음 가능합니다)
1. 나의 낭독 녹음하기 를 클릭합니다.
새로운 화면이 열립니다.
빨간 마이크 버튼을 누르세요.
2. 현재 화면에서 마이크의 권한을 허용하여 주십시오.
3. 녹음을 다 마친 후에 정지버튼을 누릅니다.
4. 녹음한 파일을 제출할 수 있도록 아래 버튼을 누릅니다.
5. 저장된 파일의 주소를 내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옮겨주어야합니다.
(녹음완료한 주소를
내가 쓸 낭독후기에 남겨놓아야
녹음파일의 행방을 알 수 있습니다.)
맨 오른쪽 작은 버튼을 누르면 주소가 나에게로 복사됩니다.
6. 원아선생님이 나의 녹음을 들을 수 있도록
낭독 후기를 작성할 때 주소를 남겨주셔야 합니다.
낭독후기를 작성한
제일 마지막 줄 빈 칸에서
빈 칸을 잠시동안 꾸욱 누르고 있으면
붙여넣기가 보입니다.
붙여넣어 주세요.
그 후에 스페이스바(띄어쓰기 버튼)를 한번 눌러 주세요.
주소 이후에 한 칸이 띄어지면
글자 색이 변하면서
링크가 저절로 걸립니다.
글쓰기 등록을 눌러 완료합니다.
봄11.
대무심의
경지
무심의
경지란
마음(생각)이
없는
경지입니다.
생각이
없다는
것은
감각이
활짝
열려있기
때문입니다.
감각은
일원성이자
텅비어있음
입니다.
텅비어있다는
것은
이고(ego)가
없다는
것입니다.
이고(ego)가
없으므로
재잘거리는
소리가
없어
항시
고요합니다.
생각의
먹구름이
덮이지
않고
막히지
않아
항시
화안합니다.
여울물이
아무리
흔들거리며
흘러가도
달빛이
비치고
있으면
그
달빛은
조금도
흔들거리지
않고
흘러가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희로애락은
없지
않지만
맑은
거울에
비친
그림자인지라
거울은
조금도
물들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대무심의
경지,
이것이
우리의
본래모습입니다.
이것이
본연의
자기입니다.
이것이
대무심의
경지입니다.
이것보다
큰
복은
없습니다.
이것보다
큰
지혜는
없습니다.
이것보다
큰
행복은
없습니다.
이것보다
큰
사랑은
없습니다.
이것이
사람다운
사람의
징표입니다.
이것이
사람을
완성한
징표입니다.
이것이
성공한
사람의
징표입니다.
이것이
자유
평화
행복의
징표입니다.
감각을
발동시켜
생각을
이기고
감각이
활짝
열려
정신이
들어야
생각이나
감정에
놀아나지
않는
대무심의
경지가
됩니다.
2010. 10. 13
문의 안내 : 02 - 765 - 2848
배송 안내 : 결제일로부터 2~5일이내. (CJ택배 이용)
교환 및 반품 안내 : 수령일로부터 7일 이내
오늘의 낭독 녹음 제출하고 후기 작성하는 법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에서 모두 녹음 가능합니다)
1. 나의 낭독 녹음하기 를 클릭합니다.
새로운 화면이 열립니다.
빨간 마이크 버튼을 누르세요.
2. 현재 화면에서 마이크의 권한을 허용하여 주십시오.
3. 녹음을 다 마친 후에 정지버튼을 누릅니다.
4. 녹음한 파일을 제출할 수 있도록 아래 버튼을 누릅니다.
5. 저장된 파일의 주소를 내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옮겨주어야합니다.
(녹음완료한 주소를
내가 쓸 낭독후기에 남겨놓아야
녹음파일의 행방을 알 수 있습니다.)
맨 오른쪽 작은 버튼을 누르면 주소가 나에게로 복사됩니다.
6. 원아선생님이 나의 녹음을 들을 수 있도록
낭독 후기를 작성할 때 주소를 남겨주셔야 합니다.
낭독후기를 작성한
제일 마지막 줄 빈 칸에서
빈 칸을 잠시동안 꾸욱 누르고 있으면
붙여넣기가 보입니다.
붙여넣어 주세요.
그 후에 스페이스바(띄어쓰기 버튼)를 한번 눌러 주세요.
주소 이후에 한 칸이 띄어지면
글자 색이 변하면서
링크가 저절로 걸립니다.
글쓰기 등록을 눌러 완료합니다.
오늘의 낭독 트레킹 진도
봄나라에서 발행된 종이책

원아 유종열님의 35성상 수행의 결정체
돌아 봄으로 생활하고
낭독 트레킹으로 수행하는
봄나라 형이상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