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6.
주종관계의
정립
본시
몸이
감각이
주인이고
마음은
몸의
종입니다.
그런데
지금은
마음인
생각이
안방을
차지하고
몸인
감각이
행랑채로
밀려나
주종이
뒤바뀐
전도된
상태입니다.
몸은
무시이래
60조
세포에
입력된
무진장한
정보와
재능을
지닌
어마어마한
존재이고
마음은
금생에
경험한
지식과
정보를
지닌
유한하고
제한적인
존재입니다.
좌뇌는
마음(생각)의
기능을
하고
우뇌는
몸(감각)의
기능을
합니다.
그러므로
좌뇌본위
생각위주의
잘못된
삶을
우뇌본위
감각위주로
바꾸어
주종관계를
바로
잡아야
합니다.
마음이
몸을
이끌고
부리고
쓰려니
고생이
막심합니다.
몸이
마음을
거느리고
다스리고
부리고
써야
고생이
끝
입니다.
우뇌본위
감각위주로
살아야
순천자이고
(順天者)
좌뇌본위
생각위주로
살면
역천자
(逆天者)
입니다.
마음
생각이
위주가
되면
몸과
마음이
상극이
되고
몸,
감각이
위주가
되면
몸과
마음이
상생이
됩니다.
마음은
몸을
돕기
위해
존재하여야
합니다.
마음을
위해
몸이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
마음은
칼과도
같습니다.
필요에
따라
칼을
쓰고
필요없을
때는
칼
집에
꽂아두어야
합니다.
몸이
감각이
마음을
부리고
써야
활인검이
(活人劍)
되고
마음이
생각이
몸을
부리고
쓰면
살인검이
(殺人劍)
됩니다.
마음이
주인인
잘못된
삶을
몸이
주인인
바른
삶을
살아야
합니다.
정신을
차려
감각을
활짝
펴고
몸을
살려나가면서
마음을
부리고
써야
합니다.
2010. 10. 7
문의 안내 : 02 - 765 - 2848
배송 안내 : 결제일로부터 2~5일이내. (CJ택배 이용)
교환 및 반품 안내 : 수령일로부터 7일 이내
오늘의 낭독 녹음 제출하고 후기 작성하는 법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에서 모두 녹음 가능합니다)
1. 나의 낭독 녹음하기 를 클릭합니다.
새로운 화면이 열립니다.
빨간 마이크 버튼을 누르세요.
2. 현재 화면에서 마이크의 권한을 허용하여 주십시오.
3. 녹음을 다 마친 후에 정지버튼을 누릅니다.
4. 녹음한 파일을 제출할 수 있도록 아래 버튼을 누릅니다.
5. 저장된 파일의 주소를 내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옮겨주어야합니다.
(녹음완료한 주소를
내가 쓸 낭독후기에 남겨놓아야
녹음파일의 행방을 알 수 있습니다.)
맨 오른쪽 작은 버튼을 누르면 주소가 나에게로 복사됩니다.
6. 원아선생님이 나의 녹음을 들을 수 있도록
낭독 후기를 작성할 때 주소를 남겨주셔야 합니다.
낭독후기를 작성한
제일 마지막 줄 빈 칸에서
빈 칸을 잠시동안 꾸욱 누르고 있으면
붙여넣기가 보입니다.
붙여넣어 주세요.
그 후에 스페이스바(띄어쓰기 버튼)를 한번 눌러 주세요.
주소 이후에 한 칸이 띄어지면
글자 색이 변하면서
링크가 저절로 걸립니다.
글쓰기 등록을 눌러 완료합니다.
봄6.
주종관계의
정립
본시
몸이
감각이
주인이고
마음은
몸의
종입니다.
그런데
지금은
마음인
생각이
안방을
차지하고
몸인
감각이
행랑채로
밀려나
주종이
뒤바뀐
전도된
상태입니다.
몸은
무시이래
60조
세포에
입력된
무진장한
정보와
재능을
지닌
어마어마한
존재이고
마음은
금생에
경험한
지식과
정보를
지닌
유한하고
제한적인
존재입니다.
좌뇌는
마음(생각)의
기능을
하고
우뇌는
몸(감각)의
기능을
합니다.
그러므로
좌뇌본위
생각위주의
잘못된
삶을
우뇌본위
감각위주로
바꾸어
주종관계를
바로
잡아야
합니다.
마음이
몸을
이끌고
부리고
쓰려니
고생이
막심합니다.
몸이
마음을
거느리고
다스리고
부리고
써야
고생이
끝
입니다.
우뇌본위
감각위주로
살아야
순천자이고
(順天者)
좌뇌본위
생각위주로
살면
역천자
(逆天者)
입니다.
마음
생각이
위주가
되면
몸과
마음이
상극이
되고
몸,
감각이
위주가
되면
몸과
마음이
상생이
됩니다.
마음은
몸을
돕기
위해
존재하여야
합니다.
마음을
위해
몸이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
마음은
칼과도
같습니다.
필요에
따라
칼을
쓰고
필요없을
때는
칼
집에
꽂아두어야
합니다.
몸이
감각이
마음을
부리고
써야
활인검이
(活人劍)
되고
마음이
생각이
몸을
부리고
쓰면
살인검이
(殺人劍)
됩니다.
마음이
주인인
잘못된
삶을
몸이
주인인
바른
삶을
살아야
합니다.
정신을
차려
감각을
활짝
펴고
몸을
살려나가면서
마음을
부리고
써야
합니다.
2010. 10. 7
문의 안내 : 02 - 765 - 2848
배송 안내 : 결제일로부터 2~5일이내. (CJ택배 이용)
교환 및 반품 안내 : 수령일로부터 7일 이내
오늘의 낭독 녹음 제출하고 후기 작성하는 법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에서 모두 녹음 가능합니다)
1. 나의 낭독 녹음하기 를 클릭합니다.
새로운 화면이 열립니다.
빨간 마이크 버튼을 누르세요.
2. 현재 화면에서 마이크의 권한을 허용하여 주십시오.
3. 녹음을 다 마친 후에 정지버튼을 누릅니다.
4. 녹음한 파일을 제출할 수 있도록 아래 버튼을 누릅니다.
5. 저장된 파일의 주소를 내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옮겨주어야합니다.
(녹음완료한 주소를
내가 쓸 낭독후기에 남겨놓아야
녹음파일의 행방을 알 수 있습니다.)
맨 오른쪽 작은 버튼을 누르면 주소가 나에게로 복사됩니다.
6. 원아선생님이 나의 녹음을 들을 수 있도록
낭독 후기를 작성할 때 주소를 남겨주셔야 합니다.
낭독후기를 작성한
제일 마지막 줄 빈 칸에서
빈 칸을 잠시동안 꾸욱 누르고 있으면
붙여넣기가 보입니다.
붙여넣어 주세요.
그 후에 스페이스바(띄어쓰기 버튼)를 한번 눌러 주세요.
주소 이후에 한 칸이 띄어지면
글자 색이 변하면서
링크가 저절로 걸립니다.
글쓰기 등록을 눌러 완료합니다.
오늘의 낭독 트레킹 진도
봄나라에서 발행된 종이책

원아 유종열님의 35성상 수행의 결정체
돌아 봄으로 생활하고
낭독 트레킹으로 수행하는
봄나라 형이상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