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아 유종열님의 35성상 수행의 결정체
돌아 봄으로 생활하고
낭독 트레킹으로 수행하는
봄나라 형이상학
Tel. 02-765-2848
bomnara.com


원아 유종열님의 35성상 수행의 결정체
돌아 봄으로 생활하고
낭독 트레킹으로 수행하는
봄나라 형이상학
원아 유종열님의 35성상 수행의 결정체
돌아 봄으로 생활하고
낭독 트레킹으로 수행하는
봄나라 형이상학
Tel. 02-765-2848
bomnara.com
원아 유종열님의 35성상 수행의 결정체
돌아 봄으로 생활하고
낭독 트레킹으로 수행하는
봄나라 형이상학
Tel. 02-765-2848
bomnara.com
봄나라
양대
수행법인
1. 낭독수행법과
2. 「걷기 돌아 봄」
수행법에
대한
참고
사항
총정리
..................................
첫번째로
넘어가야
할
고개는
자기가
일상생활
가운데
말하는
소리를
말하는
동시에
자기
귀로
자기
소리를
들을
수
있는
능력입니다.
바로
말하면서
들으려고
하면
불가능하므로
봄나라
형이상학
책
낭독을
시간나는대로
반복하여
낭독하면서
읽는
자기의
낭독소리를
들으려고
노력하면서
들릴
때까지
수행정진을
멈추지
맙시다.
낭독중
자기
소리가
들리는
날이면
자기가
일상생활
중의
자기
말소리도
잘
들
립니다.
이것을
일러
득음의
경지라고
하는데
이
수행이
중요한
까닭은
입자에
(粒子)
해당하는
생각과
파장에
(波長)
해당하는
소리가
마음과
몸의
합작이나
같으므로
심신일여의
경지에
해당되므로
중요한
수행단계인
것
입니다.
두번째
넘어가야
할
수행으로
「걷기 돌아봄」
수행입니다.
「걷기 돌아 봄」
수행은
쥐구멍 같이
비좁고
어두운
마음의
공간을
걸어가면서
위에
있는
팔과
아래에
있는
다리의
한걸음
한걸음
움직이는
동작의
일거일동이
한눈에
한
공간으로
들어와
감각이
되느냐
안되느냐를
「돌아 봄」
하는
수행인
것
입니다.
이
때
좌우의
다리와
좌우의
팔이
서로
어떻게
음양이
분열되었다가
합일되었다가
하는지
좌우의
팔다리가
상호관계로
움직이면서
음양합일을
이루어가는지를
알아차릴
수
있는가?
깜깜이인가?
여부를
돌아봄으로
알아차려야
합니다.
이때
유의사항은
다리와
팔이
엇박자로
움직이기만
하면
음양이
분열되므로
왼다리(陰)가
앞으로
나아갈 때는
오른팔(陽)도
동시에
앞으로
나아가
줌으로서
음양합일을
만들어
준다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게
됩니다.
걸어갈 때
양 다리가
앞과
뒤로
분열되는
현상을
보완해주기
위해
반대방향의
팔이
다리와
짝을 맞추어
음양합일이
되도록
한다는
사실도
감각으로
포착할
수
있을
정도가
되어야
「걷기 돌아 봄」에서
확
트인
감각의
공간으로
말미암아
좌와
우의
팔과
다리가
움직이는
모양새를
화안하게
감각의
눈에
들어와야
제대로
「걷기 돌아 봄」
을
하는
사람이랄
수
있는
것
입니다.
「걷기 돌아봄」
수행이란
양팔과
양다리의
움직임이
어떻게
서로
엇갈리는지
그
가운데
어떻게
팔이
다리의
전후로
분열되는
현상을
음양합일을
시키는
현장을
목격하고
발견하면서
걸어가는
묘미가
일품인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서
걸어가노라면
한눈
팔
사이도
없고
심심할
겨를도
없으니
무심으로
걸어가니
아무리
오래
걸어도
싫증이
나지
않습니다.
----------
최초작성
2020.03.22
-----------
편집완료
2020.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