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143. 여의주를 얻었다는 뜻은?
봄143.
여의주를
얻었다는
뜻은?
이무기가
(二無記)
얻으면
용(龍)이
되어
세번
등천한다는
(登天)
말이
있는데
그
첫번째
등천은
마음이
몸을
늘
봄의
수행을
통하여
숨죽여봄으로
지구의
호흡인
밀물과
썰물을
구경하듯이
숨죽인
가운데
들숨과
날숨을
관찰하는
능력으로
하늘이
어떻게
살리는지를
관찰하게
됩니다.
이렇게
되려면
나갔던
정신이
들어와
하단전에
안착하여야
내
몸안에서
일어나는
썰물이
들고
남을
여실하게
볼
수
있습니다.
우리
살리는
가장
소중한
호흡자재가
(呼吸自在)
이루어져야
다음으로
움직이려면
움직이고
움직이지
않으려면
않을
있게
되어서
몸에
대한
자재력을
얻고
또한
생각을
내려면
낼
있고
내지
말하려면
말을
하고
말하지
있어
마음에
얻어
호흡,
몸,
마음이라고
하는
3대
얻어야
용이
등천이
가능한
것
입니다.
봄143.
여의주를
얻었다는
뜻은?
이무기가
(二無記)
여의주를
얻으면
용(龍)이
되어
세번
등천한다는
(登天)
말이
있는데
그
첫번째
등천은
마음이
몸을
늘
봄의
수행을
통하여
숨죽여봄으로
지구의
호흡인
밀물과
썰물을
구경하듯이
숨죽인
가운데
들숨과
날숨을
관찰하는
봄의
능력으로
하늘이
어떻게
몸을
살리는지를
관찰하게
됩니다.
이렇게
되려면
나갔던
정신이
들어와
하단전에
안착하여야
내
몸안에서
일어나는
밀물과
썰물이
들고
남을
여실하게
볼
수
있습니다.
우리
몸을
살리는
가장
소중한
호흡자재가
(呼吸自在)
이루어져야
다음으로
몸을
움직이려면
움직이고
움직이지
않으려면
움직이지
않을
수
있게
되어서
몸에
대한
자재력을
얻고
또한
생각을
내려면
낼
수
있고
내지
않으려면
내지
않을
수
있고
말하려면
말을
하고
말하지
않으려면
말하지
않을
수
있어
마음에
대한
자재력을
얻어
호흡,
몸,
마음이라고
하는
3대
자재력을
얻어
여의주를
얻어야
이무기가
용이
되어
등천이
가능한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