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봄 (Watching)
- 나 (Practicing)
- 라 (Noticing)
-
책읽기(Reading)
- 1권) 늘봄의 생활
- 2권) 나는 봄이다 고로 존재한다 / 작업중
- 3권) 나는 봄의 힘으로 산다
- 4권) 봄나는 어떻게 삶을 창조하고 운행하는가
- 5권) 봄나의 증득
- 6권) 태양의 탄생 봄나라
- 7권) 사람의 완성
- 8권) 삶의 완성
- 9권) 사랑의 완성
- 10권) 정신의 개벽 / 작업중
- 11권) 깨달음의 완성 / 작업중
- 12권) 감각계발 / 작업중
- 13권) 마음이 몸을 늘봄
- 14권) 숨죽여봄
- 15권) 내면의 하늘 보기
- 16권) 둘이 하나가 된 둥근 사람
- 17권) 가만히 있어봄
- 18권) 싸우지 않고 사는 사람
- 19권) 봄나라 형이상학 전자책(상)
- 20권) 봄나라 형이상학 전자책(하)
- 1권) 늘봄의 생활
- 2권) 나는 봄이다 고로 존재한다 / 작업중
- 3권) 나는 봄의 힘으로 산다
- 4권) 봄나는 어떻게 삶을 창조하고 운행하는가
- 5권) 봄나의 증득
- 6권) 태양의 탄생 봄나라
- 7권) 사람의 완성
- 8권) 삶의 완성
- 9권) 사랑의 완성
- 10권) 정신의 개벽 / 작업중
- 11권) 깨달음의 완성 / 작업중
- 12권) 감각계발 / 작업중
- 13권) 마음이 몸을 늘봄
- 14권) 숨죽여봄
- 15권) 내면의 하늘 보기
- 16권) 둘이 하나가 된 둥근 사람
- 17권) 가만히 있어봄
- 18권) 싸우지 않고 사는 사람
- 19권) 봄나라 형이상학 전자책(상)
- 20권) 봄나라 형이상학 전자책(하)
봄5. 뒤집기의 중요성

0
0
봄5.
뒤집기의
중요성
누워
지내던
아기가
뒤집기에
성공하여야
기어다닐
수
있고
기어다닌
연후라야
앉을
수
있고
앉을
수
있어야
일어설
수
있고
일어서야
비로서
걸을
수
있고
걷게
되어야
달릴
수
있고
달릴
수
있어야
축구를
할
수
있습니다.
뒤집기도
할
줄
모르는
자가
달리려고
하고
달릴
줄도
모르면서
축구를
하려고
한다면
어불성설
(語不成說)
입니다.
도를
닦으려는
자
역시
도를
닦는
순서와
(順序)
차제가
(次第)
있고
한단계
한단계
오르기
위한
노력과
도전을
(挑戰)
거쳐
힘과
기술을
터득하고
(攄得)
습득하지
(習得)
않으면
안
됩니다.
세상사는
(世上事)
요행이
(僥倖)
없으며
공짜로
이루어지는
일이
없습니다.
인간개발
자아완성의
길은
첫번째
행보가
(行步)
뒤집기로서
마음이
몸돌아봄
수행이
이에
해당합니다.
돌아봄
수행과
낭독수행을
합하여
양다리로
보면
양다리로
일어서고
걷고
달릴
수
있고
마침내
축구를
비롯한
어떠한
공(空)놀이도
자유자재하게
(自由自在)
되고
아기가
마침내
정신이
(精神)
들어
어르신이
(얼의 신)
될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