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봄 (Watching)
- 나 (Practicing)
- 라 (Noticing)
-
책읽기(Reading)
- 1권) 늘봄의 생활
- 2권) 나는 봄이다 고로 존재한다 / 작업중
- 3권) 나는 봄의 힘으로 산다
- 4권) 봄나는 어떻게 삶을 창조하고 운행하는가
- 5권) 봄나의 증득
- 6권) 태양의 탄생 봄나라
- 7권) 사람의 완성
- 8권) 삶의 완성
- 9권) 사랑의 완성
- 10권) 정신의 개벽 / 작업중
- 11권) 깨달음의 완성 / 작업중
- 12권) 감각계발 / 작업중
- 13권) 마음이 몸을 늘봄
- 14권) 숨죽여봄
- 15권) 내면의 하늘 보기
- 16권) 둘이 하나가 된 둥근 사람
- 17권) 가만히 있어봄
- 18권) 싸우지 않고 사는 사람
- 19권) 봄나라 형이상학 전자책(상)
- 20권) 봄나라 형이상학 전자책(하)
- 1권) 늘봄의 생활
- 2권) 나는 봄이다 고로 존재한다 / 작업중
- 3권) 나는 봄의 힘으로 산다
- 4권) 봄나는 어떻게 삶을 창조하고 운행하는가
- 5권) 봄나의 증득
- 6권) 태양의 탄생 봄나라
- 7권) 사람의 완성
- 8권) 삶의 완성
- 9권) 사랑의 완성
- 10권) 정신의 개벽 / 작업중
- 11권) 깨달음의 완성 / 작업중
- 12권) 감각계발 / 작업중
- 13권) 마음이 몸을 늘봄
- 14권) 숨죽여봄
- 15권) 내면의 하늘 보기
- 16권) 둘이 하나가 된 둥근 사람
- 17권) 가만히 있어봄
- 18권) 싸우지 않고 사는 사람
- 19권) 봄나라 형이상학 전자책(상)
- 20권) 봄나라 형이상학 전자책(하)
봄9. 이미지는 실체가 아니다.

봄9.
이미지는
실체가
아니다.
모양과
색깔에
조금이라도
끌리는
바가
있다면
완전한
주인이
되지
못한
것이다.
지금
여기
눈
앞의
사물을
보고
모양과
색깔을
감상하고
즐기더라도
어느
한가지
그림자라도
남아있다가
계속
뜨고
끌림이
있다는
것은
그
순간
주인자리를
뺏겼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평소에는
이미지에
크게
끄달리지
않는다손
치더라도
어떤
특정의
이미지에
약하고
끌리는
바가
있다면
그
이미지를
지나치지
말고
철저하게
돌아봄
바라봄하여
더이상
그
이미지가
나타나도
조금도
끌리지
않아
이미지가
더이상
존립이
되지
않을
정도가
되어야
그
이미지를
완전히
타파한
것으로
그
이미지로부터
자유롭다고
할
것이다.
어떠한
이미지이든지
보는
순간
더이상
이미지가
아닐
경우
거기에
봄이
주인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고
할
것이다.
이것이
무자화두가
(無字話頭)
타파된
소식이고
제상비상이면
(諸相非相)
즉견여래라는
(卽見如來)
말의
진정한
뜻이다.